https://tistory3.daumcdn.net/tistory/3108244/skin/images/jquery.nester.toc.min.js

한국인이 잘 걸리는 질병 역류성 식도염

오늘은 한국인이 잘 걸리는 질병 중 하나인 역류성 식도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최근들어 점점 역류성 식도염 환자들이 늘어나고 있는데 서양에서는 인구의 약20%~40%가 역류성 식도염을
앓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식생활의 변화, 헬리코박터감염률의 감소 등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최근 역류성 식도염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여, 보고에 따르면 전체 인구의 10~20%가 이 질환을 앓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서양에 비하면 적은 숫자이지만 계속 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계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 병의 특성상 완치가 없고, 대부분 평생 증상의 반복을 경험하고 지내는 편입니다.

역류성 식도염같은 경우 보통 명치 쪽이 아프면서 트림이 자주 나고 가슴이 답답해지는 증상이 나타나며
속이 쓰리고 아픈 것이 체했을 때 증상과 비슷하게 나타납니다.

먼저 역류성 식도염이 어떤 질병인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역류성 식도염이란? 의학적으로는 위장의 내용물이 식도로 거꾸로 올라와서 발생하는 위 식도 역류 질환의 일부이다.
강한 산성을 띤 위산이 위장 속에 있으면 문제가 없지만, 식도로 거꾸로 올라오면 식도는 강한 산성을 가진 위산을
견딜 수 없어 그 증상이 나타납니다.
특히 위산을 포함한 위 속의 내용물이 식도 쪽으로 거꾸로 올라와서 식도점막을 작극함으로써 생기는 질환입니다.
식도점막은 위점막과 달리 산성에 매우 약합니다. 반복해서 식도 점막이 위산에 노출되면 역류성 식도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생활 습관의 변화로 증상을 호전 시킬 수 있습니다.
 위 식도 역류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위내시경을 실시하여 식도염의
소견이 있을 경우를 역류성 식도염이라고 합니다. 소견이 없는 경우는 비 미란성 역류 질환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많은 일반인이 역류성 식도염을 위 식도 역류 질환과 같은 의미로 혼용하여 생각하고 있습니다.

역류성 식도염의 주 증상은 무엇일까?

주증상으로는 갑작스럽게 또는 점차적으로 신트림을 하는 등, 목, 입안으로 신물이 넘어오거나

음식물을 삼키기 힘들어지고 통증이 오며 가슴부위에 타는 듯한 느낌이 듭니다. 

흉통 증상은 협심증이나 심근경색 등의 심장 질환과 혼돈되기 쉽습니다. 또한 가끔 통증이 팔, 목, 등

으로 퍼지듯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식도염을 경험하고 있는 환자들 대부분은 대개 반듯하게 위를 쳐다보고 누워 있을 때 또는 위가 팽창할 때

더 불편하다고 말하고 있으면 서 있거나 걷는 것으로 완화되어 진다고 하고 있습니다.

이 외 추가적인 증상들로는 속이 더부룩하고 소화가 잘 안되거나, 기침이 잦고 쉰 목소리나 나거나

만성기침, 목의 이물감, 흉통, 기관지 천식 등과 같은 식도 외 증상들도 흔히 발생하므로 올바른 진단이

내려지기 전에 다른 여러 과를 전전하는 환자들도 많이 있습니다.


역류성 식도염 예방법

역류성 식도염의 질병은 생활습관의 교정으로 치료와 예방을 할 수가 있습니다.

첫번째 체중 감량: 복압을 줄이기 위해서 뚱뚱한 사람은 체중을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두번째 금연: 식도 괄약근이 이완되는 것을 줄일 수 있습니다.

세번째 금주: 하부식도 괄약근의 강도를 높여주고 식도의 연동운동을 증가시켜 줍니다.

네번째 기름기가 많은 음식이나, 커피, 초롤릿, 오렌지 주스 등 신 주스를 피해야 합니다.

다섯번째 식사 후 바로 눕지 않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여섯번째 소량씩 자주 먹고 부드러운 음식과 다 소화되어 많이 남지 않는 음식을 먹습니다.

일곱번째 과식을 피하고 취침 전 3시간 이내에는 음식물을 섭취하지 않도록 합니다.

여덟번째 식사 동안 타액이 음식에 적절하게 첨가되도록 꼼꼼하게 천천히 씹어 먹어줍니다.

아홉번째 침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침대의 머리 부분을 올려주면 위산이 덜 역류하여

증상이 완화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비약물적 치료에 반응이 없을 경우에는 약물치료를 하여 위산의 분비를 억제하는 약물을

복용하게 됩니다. 식사시간 후와 수면시간에 제산제를 먹음으로써 산분비물을 중화시키는 방법도 있습니다.

식도 아래 괄약근의 압력을 증가 시켜 역류를 제지하는 약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신트림이나 삼킬 때의 어려움으로 인한 통증을 조절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국소 마취제형태의 약물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위에 나와 있는 아홉가지 식생활습관만 꾸준히 지켜진다면 역류성 식도염을 충분히 예방할 수 있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